본문 바로가기

육아

🔍 미숙아 자폐비율 & 교정개월별 조기발달 체크리스트

미숙아 자폐비율 & 교정개월별 조기발달 체크리스트

✅ 미숙아의 자폐 비율은?

▶ 일반 아동의 자폐 유병률:

전체 아동: 약 1~2% (100명 중 1~2명)

▶ 미숙아의 자폐 유병률:

연구마다 조금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5~8% 전후

 

**극소미숙아(VLBW, 1500g 이하)**의 경우

7~9% 정도 보고됨

 

특히 **조산 주수(28주 이전)**와

합병증 유무에 따라 달라짐

즉, 정상아보다 위험은

3~5배 정도 높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90% 이상의 미숙아는

자폐가 아닙니다.


✅ 자폐를 의심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

생후 18개월~24개월 이후부터

조금씩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요.

 

현재 보이는 수면 문제,

각성 유지 어려움,

자세 불편감 등은

신경계 미성숙, 감각 예민함,

발달 특성으로도

흔히 나타납니다.
(특히 미숙아에게선

더 흔해요)


✅ 교정개월별 조기발달 체크리스트 (6~12개월)

항목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11개월 12개월
눈 맞춤 자주 눈을 마주치고 사람 얼굴 응시 눈 맞춤 유지 & 표정 반응 낯가림 시작 눈 맞춤+
엄마·아빠 찾기
부르면 고개 돌림 눈치 보기,
감정 읽기
제스처 보고 따라함
사회적 반응 미소에 미소로 반응 사람 목소리에 반응 낯선 사람
보면 경계
손뻗기·웃음으로 관심 표현 물건 주면
반응
“안녕” 등
제스처
반응
간단한 지시에 반응 (“안돼” 등)
소리
반응
큰 소리에 놀람 이름에
반응 시작
이름 부르면 반응 확실 옹알이 다양해짐 마마/바바 옹알이 특정 단어
따라함
의미 있는 단어 사용 시작
운동
발달
엎드리면 팔 펴고 가슴 들기 혼자 앉기 시도 혼자 앉기
가능
기기 시작 잘 기고 일어서기 시도 붙잡고
서기
혼자 몇 걸음 걷기
손의
사용
두 손 모아 놀기 장난감 잡고
흔들기
손에서 손으로 옮기기 엄지+검지로
작은 물건 잡기
집기 동작 세밀 컵 등 들고 시도 손으로 먹기 시도
애착
형성
엄마 목소리 구분 주양육자 알아봄 품에 안기고
안정감 느낌
낯선 사람 거부 엄마 없으면 불안 엄마 찾으며 울기 떨어지면 강한 불안감 표현
의사
소통
옹알이 시작 소리·표정으로 욕구 표현 말 걸면 옹알이로 반응 엄마 따라
성량 다양
몸짓, 손짓
사용
간단한 단어 시도 간단한 요청
수행 가능
감각·
주의력
장난감 쳐다보기 소리 나는 쪽으로 고개 돌림 관심 집중
시간 ↑
특정 장난감
선호
원하는 것
가리킴
시선 따라가기 여러 자극에
반응 조절 가능
 

🔍 꼭 주의 깊게 체크해야 할 이상 신호들

이름을 여러 번 불러도

반응이 거의 없음

 

눈을 거의 맞추지 않거나

눈 맞춤을 피함

 

표정이 거의 없거나,

감정 표현이

매우 희박함

 

의미 없는 손 움직임

(손 흔들기,

손가락 돌리기 등)을

지속 반복

 

말이 늘지 않고,

발달이 퇴행하는 경우

 

부모의 목소리에도

반응이 미약하거나

무관심한 모습

 

혼자만의 행동에

지나치게 몰입